1. 전 거래일(11월 4일) 서울환시
□ 달러/원 환율 거래 동향
시가 | 고가 | 저가 | 종가 |
1,426.00 | 1,429.20 | 1,415.70 | 1,419.20 (전일比 4.60원↓) |
장중동향 | |||
- 달러/원 환율은 아시아 장중에 국내외 증시 강세 및 위안화 가치 상승에 힘입어 하락 마감함. 장 초반에 1,430원대 돌파를 시도하며 상승하던 달러/원 환율은 정오 즈음부터 중국의 코로나19 방역 정책 완화 기대감에 하락 전환하였으며, 전거래일 종가대비 4.60원 하락한 1,419.20원에 장을 마감함. - 가중평균거래환율(MAR) : 1,422.40원 - 거래량 : 약 69억불 |
※ 11/6 기준, 韓 코로나19 일일 확진자수 : 36,675명(국내: 36,609명)
□ 아시아 증시 지표
주가지수 | 전일 比 | |
韓 코스피 | 2,348.43 | ▲ 0.83% |
韓 코스닥 | 693.89 | ▼ 0.03% |
日 닛케이 | 27,199.74 | ▼ 1.68% |
中 상해종합 | 3,070.80 | ▲ 2.43% |
2. 뉴욕환시
□ 거래동향
환시 | 美 국채금리 | 증시 | 스왑/Libor/유가 | ||||
EUR/USD | 0.99610 (▲ 2.24%) |
2Y | 4.679% (▼ 4.1bp) |
DOW | 32,403.22 (▲ 1.26%) |
CRS 3Y Mid |
3.625% (▼ 0.035%p) |
USD/JPY | 146.687 (▼ 1.16%) |
10Y | 4.159% (▲ 3.6bp) |
S&P | 3,770.55 (▲ 1.36%) |
Libor 3M | 4.55% (▲ 0.02%p) |
달러인덱스 | 110.769 (▼ 2.03%) |
30Y | 4.247% (▲ 9.9bp) |
NASDAQ | 10,475.25 (▲ 1.28%) |
WTI (12月물) |
92.61 (▲ 5.0%) |
장중동향 | |||||||
- 환시 : 달러화는 주말을 앞두고 중국의 방역규제 완화 기대로 인한 위험선호 재개로 급락 마감 - 美 10Y 국채금리 : 견조한 美 비농업고용지표를 확인 후 연준의 매파스탠스 강화 우려에 상승 마감 - 증시 : 美 고용지표 호조 및 중국發 위험선호 재개에 상승 마감 - 유가 : 중국의 코로나19 방역 규제 완화 기대에 배럴당 90불을 돌파하며 급등 마감 |
□ 주요 뉴스
○ 미니애폴리스 연은 총재 "고용 탄탄해…최종금리 4.9%보다 높을 듯" (연합인포맥스)
-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방준비은행 총재가 당초 예상했던 최종금리가 애초 예상했던 4.9% 근방에서 더 오를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음.
- 카시카리 총재는 4일(현지시간) AP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이날 발표된 10월 고용보고서는 고용이 "매우 탄탄하다"라는 것을 보여준다고 진단했음. 그는 이번 보고서는 "경제를 식히고, 수요와 공급을 균형으로 되돌리기 위해 우리가 해야 할 일이 더 많다는 것을 보여준다"라고 말했음.
- 카시카리 총재는 그동안 美 연준이 공격적으로 금리를 인상해야 한다고 주장해온 매파적 인사 중 한 명임. 카시카리 총재는 "금리 시간표에서 나는 지난 9월 내년 3~4월에 금리가 4.9% 근방에서 정점을 찍을 것으로 예상했다"라며 "지금 내가 알고 있는 것을 고려하면 그보다는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한다. 그보다 얼마나 더 높아질지는 모르겠다"라고 말했음.
- 연준이 지난 9월에 예상한 최종금리 중간값은 4.6%임. 금리 목표치로 보면 4.5%~4.75%로 카시카리 총재가 예상한 수준은 이보다 더 높은 4.75%~5.00% 정도로 추정되며, 카시카리 총재의 이날 발언은 내년에 최종 금리가 5%를 웃돌 것을 시사한 것으로 볼 수 있음.
□ 서울환시 거래전망
○ NDF 달러∙원 최종호가 : 1,403.90 (전일 서울환시 종가대비 15.05원↓)
○ 금일 달러/원 환율은 중국의 ‘제로 코로나’ 정책이 완화될 수 있다는 기대가 주말 전 시장을 흔들면서 1,400원대 초반까지 급락하여 1,400원 지지 여부를 테스트할 것으로 전망됨.
'외환(FX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1/9(수) 일일시황 (0) | 2022.11.09 |
---|---|
11/8(화) 일일시황 (0) | 2022.11.08 |
11/4(금) 일일시황 (0) | 2022.11.04 |
11/3(목) 일일시황 & 美 11月 FOMC Summary (0) | 2022.11.03 |
11/2(수) 일일시황 & Markets Strategy Update 4Q22(UOB) (0) | 2022.11.02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