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전 거래일(10월 15일) 서울환시
□ 달러/원 환율 거래 동향
거래지표 | 전일 比 | 장중동향 | |
시가 | 1,184.50 | △2.30 | - 간밤 달러화 강세에 대한 피로 누적에 혼조세를 보인 영향으로 달러/원 환율은 2.30원 하락하여 개장 후 낙폭을 확대함. - 국내 주식시장도 상승세를 보이며 투자심리가 다소 안정을 회복한 영향을 받았으며, 그간 역외에서 환율 상승에 베팅했던 투기적 포지션들의 급한 되돌림이 나오면서 장중 1,181원대까지 저점을 낮추기도 하였으나 이 레벨에서는 결제수요가 활발히 유입되어 지지함. 달러/원 환율은 전거래일 종가대비 4.40원 하락한 1,182.40원에 장을 마감함. - 가중평균거래환율(MAR) : 1,182.80원 - 거래량 : 약 98.3억불 |
고가 | 1,185.00 | ||
저가 | 1,181.50 | ||
종가 | 1,182.40 | △4.40 |
□ 아시아 증시 지표
주가지수 | 전일 比 | |
韓 코스피 | 3,015.06 | ▲ 0.88% |
韓 코스닥 | 990.54 | ▲ 0.72% |
日 닛케이 | 29,068.63 | ▲ 1.81% |
中 상해종합 | 3,572.37 | ▲ 0.40% |
□ 전일 주요 뉴스
○ 이주열 "금리 정상화, 한두 번 아니라 꾸준히 이어가야 되는 것" (연합인포맥스)
-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15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해 향후 통화정책 정상화 과정은 한두 번의 금리 인상이 끝이 아니라 꾸준히 이어나가야 한다는 견해를 밝혔음. 오는 11월 금리인상에 대해서는 특별한 위험이 없는 한 충분히 고려할 수 있다고 덧붙였음.
- 이 총재는 최근 원화 움직임에 대해서는 다른 나라에 비해 변동성이 컸던 게 사실이라며 환율을 눈여겨보겠다고 말했음.
※ 10/17 0시 기준, 국내 코로나19 일일 확진자수 : 1,420명 (국내: 1,403명)
2. 뉴욕환시
□ 거래동향
환시 | 美 국채금리 | 증시 | 스왑/Libor/유가 | ||||
EUR/USD | 1.16031 (▲ 0.05%) |
2Y | 0.403% (▲ 4.9bp) |
DOW | 35,294.76 (▲ 1.09%) |
CRS 3Y Mid |
0.975% (▼ 0.015%p) |
USD/JPY | 114.211 (▲ 0.50%) |
10Y | 1.579% (▲ 5.9bp) |
S&P | 4,471.37 (▲ 0.75%) |
Libor 3M | 0.12% (-%p) |
달러인덱스 | 93.942 (▼ 0.05%) |
30Y | 2.052% (▲ 2.6bp) |
NASDAQ | 14,897.37 (▲ 0.50%) |
WTI (11月물) |
82.28 (▲ 1.2%) |
장중동향 | |||||||
- 환시 : 글로벌 달러화는 美 소매판매가 예상치를 웃도는 등 경기 회복세가 견조하자 혼조세로 마감 - 美 10Y 국채금리 : 기대 인플레이션 상승과 美 소매지표 호조로 인한 경기회복 기대로 상승 마감 - 증시 : 美 경제지표 호조와 기업들의 호실적으로 상승 마감 - 유가 : 수요 증가와 공급부족 우려가 지속되며 상승 마감 |
□ 주요 뉴스
○ 리치먼드 연은 총재 "테이퍼링 지지…인플레 쪽에 위험" (CNBC)
- 15일(현지시간) 토마스 바킨 리치먼드 연방은행 총재는 CNBC와의 인터뷰에서 "우리는 11월 회의에서 테이퍼링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"라고 말했으며, 인플레이션에 대해서는 우려를 표명했음.
- 바킨 총재는 금리 인상 결정은 인플레이션이 높은 수준을 유지할지, 아니면 지난 25년간 유지된 1.5~2%로 돌아갈지 여부와 노동시장이 완전 고용에 얼마나 근접한 지에 따라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음.
- 그는 "앞으로 6개월간 노동시장이 지금처럼 타이트해질까, 인플레이션은 올라갈까 내려갈까"라고 반문하며 "이러한 질문에 대한 여러 답변이 금리 인상에 대한 여러 관점으로 나를 이끌 것"이라고 덧붙였음.
□ 서울환시 거래전망
○ NDF 달러∙원 최종호가 : 1,183.50 (전일 서울환시 종가대비 0.30원↑)
○ 금일 달러/원 환율은 전주 급락에 따른 기술적 반등을 시도할 것을 보이며, 장중 발표될 중국의 3분기 GDP 성장률이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을 경우 하단 지지 재료가 될 것으로 전망됨.
'외환(FX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0/20(수) 일일시황 (0) | 2021.10.20 |
---|---|
10/19(화) 일일시황 (0) | 2021.10.19 |
10/14(목) 일일시황 (0) | 2021.10.14 |
10/13(수) 일일시황 (0) | 2021.10.13 |
10/12(화) 일일시황 (0) | 2021.10.12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