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전 거래일(9월 8일) 서울환시
□ 달러/원 환율 거래 동향
거래지표 | 전일 比 | 장중동향 | |
시가 | 1,163.00 | +5.20 | - 달러/원 환율은 간밤 강세를 보인 글로벌 달러화 영향으로 전일 종가 대비 5.2원 갭업 상승 개장 후 꾸준한 상승세를 보임. - 장중에 국내 주식시장에서 외국인의 순매도가 3천억원 가까이 늘어나며 위험자산 회피 심리가 강해졌으며, 그에 따라 달러/원 환율도 수급상 매도 우위임에도 불구하고 지속 상승함. - 1,160원대 중반에서 저항을 받았으나 역외 중심의 달러 매수세가 환율 상승을 주도한 끝에 환율은 전거래일 종가 대비 8.9원 상승한 1,166.70원에 장을 마감함. - 가중평균거래환율(MAR) : 1,164.50원 - 거래량 : 약 84.6억불 |
고가 | 1,166.90 | ||
저가 | 1,162.20 | ||
종가 | 1,166.70 | +8.90 |
□ 아시아 증시 지표
주가지수 | 전일 比 | |
韓 코스피 | 3,162.99 | ▼ 0.77% |
韓 코스닥 | 1,037.22 | ▼ 1.63% |
日 닛케이 | 30,181.21 | ▲ 0.89% |
中 상해종합 | 3,675.19 | ▼ 0.04% |
□ 전일 주요 뉴스
○ 中지준율 인하 기대 어려울까…인민은행 "유동성 풍부하고 균형적" (차이신)
- 시장참가자들 사이에서는 중국의 지급준비율이 올해 한차례 추가 인하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중국 인민은행은 유동성에 대해 풍부하고 수요와 공급이 균형적이라는 평가를 내놨음.
- 쑨궈펑 인민은행 통화정책국장은 지난 7일 국무원 브리핑에 참석해서 "인민은행은 재정수입, 지출 및 국채 발행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정기적인 유동성 변동을 완화할만한 적절한 수단을 가지고 있고, 상당히 풍부한 유동성 수준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는 상황"이라고 언급함.
※ 9/8 0시 기준, 국내 코로나19 일일 확진자수 : 2,050명 (국내: 2,014명)
2. 뉴욕환시
□ 거래동향
환시 | 美 국채금리 | 증시 | 스왑/리보/유가 | ||||
EUR/USD | 1.18177 (▼ 0.19%) |
2Y | 0.220% (▲ 1.2bp) |
DOW | 35,031.07 (▼ 0.20%) |
CRS 3Y Mid |
0.770% (▼ 0.010%p) |
USD/JPY | 110.280 (▼ 0.02%) |
10Y | 1.342% (▼ 2.8bp) |
S&P | 4,514.07 (▼ 0.13%) |
Libor 3M | 0.12% (-%p) |
달러인덱스 | 92.705 (▲ 0.16%) |
30Y | 1.949% (▼ 3.7bp) |
NASDAQ | 15,286.64 (▼ 0.57%) |
WTI (10月물) |
69.30 (▲ 1.4%) |
장중동향 | |||||||
- 환시 : 글로벌 달러화는 ECB 통화정책회의를 앞두고 혼조세로 마감 - 美 10Y 국채금리 : 10년물 입찰수요가 강했고, 美 연준이 경제성장 둔화를 진단하여 하락 마감 - 증시 : 코로나19 델타 변이 관련 우려가 지속되며 하락 마감 - 유가 : 멕시코만 원유 생산 회복 지연으로 공급 우려가 커지며 상승 마감 |
□ 주요 뉴스
○ 연준 베이지북, 美 경제성장 7월초부터 8월까지 보통 속도로 둔화 (연합인포맥스)
- 8일(현지시간) 美 연준은 경기 평가보고서인 베이지북에서 "코로나19 델타 변이와 관련한 안전 우려를 반영한 외식과 여행, 관광이 위축되면서 경제활동이 둔화됐다"고 진단했음.
- 또한, 경제성장이 7월초부터 8월까지 보통 속도(moderate pace)로 둔화됐다고 평가했는데, 이는 지난 7월에 발표한 베이지북(5월말부터 7월초까지)에서 경제 활동이 '탄탄한(robust)' 성장세를 보였다고 진단한 것과 달라진 대목임.
- 연준은 인플레이션이 높은 상승세(at an elevated pace)를 계속 유지했다고 전했으며, 일부 지역에서는 늘어난 공급관련 비용을 소비자 가격에 쉽게 전가할 것으로 전망했음.
□ 서울환시 거래전망
○ NDF 달러∙원 최종호가 : 1,167.50 (전일 서울환시 종가대비 0.20원↑)
○ 금일 달러/원 환율은 위험자산 회피 선호가 커진 영향으로 1,160원대 중후반에서 수급에 따른 등락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됨.
'외환(FX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9/13(월) 일일시황 (0) | 2021.09.13 |
---|---|
9/10(금) 일일시황 (0) | 2021.09.10 |
9/8(수) 일일시황 (0) | 2021.09.08 |
9/6(월) 일일시황 (0) | 2021.09.06 |
9/3(금) 일일시황 (0) | 2021.09.03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