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전 거래일(4월 22일) 서울환시
□ 달러/원 환율 거래 동향
거래지표 | 전일 比 | 장중동향 | |
시가 | 1,242.50 | +3.20 | - 서울환시는 간밤 NDF시장에서의 달러화 강세를 반영하여 전거래일 종가 대비 3.20원 상승한 1,242.50원에 개장함. - 개장 후 1,240원대로 출발한 환율은 활발한 수출업체들의 달러 매도에도 불구하고 연고점 기록을 경신했으나 이후 장중에 달러/엔의 급락에 상승폭을 되돌리며 전거래일 종가 대비 0.10원 상승한 1,239.10원에 장을 마감함. - 가중평균거래환율(MAR) : 1,241.70원 - 거래량 : 약 131.9억불 |
고가 | 1,245.40 | ||
저가 | 1,238.30 | ||
종가 | 1,239.10 | +0.10 |
□ 아시아 증시 지표
주가지수 | 전일 比 | |
韓 코스피 | 2,704.71 | ▼ 0.86% |
韓 코스닥 | 922.78 | ▼ 0.74% |
日 닛케이 | 27,105.26 | ▼ 1.63% |
中 상해종합 | 3,086.92 | ▲ 0.23% |
□ 전거래일 주요 뉴스
○ 노무라 "中 GDP 성장률 전망치 3.9%로 하향 조정" (연합인포맥스)
- 일본 금융사 노무라홀딩스가 중국의 국내총생산(GDP) 성장률 전망치를 3.9%로 하향 조정했다. 기존 전망치는 4.3%였음. 21일(이하 현지시간) 노무라는 노트에서 중국이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주요 도시를 봉쇄하는 등 이른바 '제로 코로나' 정책을 실시하며 경기 전망이 악화했다면서 이같이 밝혔음. 노무라의 수석 중국 이코노미스트는 또, 중국의 올 2분기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의 3.4%에서 1.8%로 낮췄음.
- 노무라는 4월 중국 경제 관련 지표의 급격한 악화, 완전 또는 부분적인 봉쇄 조처가 내려진 도시의 증가, 심각한 물류 혼란을 비롯해 중국 당국이 제로 코로나 정책을 쉽사리 끝내지 않을 것 같다는 예측 등이 중국 경제 전망 악화의 주요인이라고 설명했음.
※ 4/24 0시 기준, 국내 코로나19 일일 확진자수 : 64,725명 (국내: 64,689명)
2. 뉴욕환시
□ 거래동향
환시 | 美 국채금리 | 증시 | 스왑/Libor/유가 | ||||
EUR/USD | 1.07793 (▼ 0.55%) |
2Y | 2.718% (▲ 1.9bp) |
DOW | 33,811.40 (▼ 2.82%) |
CRS 3Y Mid |
2.430% (▼ 0.015%p) |
USD/JPY | 128.540 (▲ 0.20%) |
10Y | 2.902% (▼ 1.6bp) |
S&P | 4,271.78 (▼ 2.77%) |
Libor 3M | 1.21% (▲ 0.03%p) |
달러인덱스 | 101.172 (▲ 0.59%) |
30Y | 2.947% (▲ 0.9bp) |
NASDAQ | 12,839.29 (▼ 2.55%) |
WTI (6月물) |
102.07 (▼ 1.7%) |
장중동향 | |||||||
- 환시 : 달러화는 파월 연준읜장의 매파적 발언 여파로 추가 강세 마감 - 美 10Y 국채금리 : 긴축 우려가 지속됨에도 불구하고 상승 피로감에 소폭 하락 마감 - 증시 : 파월 연준 의장의 매파적 발언 여파와 기업 실적 경계감에 하락 마감 - 유가 : 달러 강세와 중국의 수요 위축 우려에 하락 마감 |
□ 주요 뉴스
○ 라가르드 "러시아 침공 경제적 여파는 세계화에 결정적 순간될 수도" (WSJ)
- 라가르드 유럽중앙은행(ECB) 총재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의 경제적 여파는 21세기 세계화에 결정적 순간(defining moment)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음. 22일(현지시간) ECB 홈페이지에 따르면 라가라드 총재는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(PIIE)가 주최한 행사에서 "러시아의 이유 없는 공격은 세계화된 경제에 경제적 관계와 의존성에 대한 근본적인 재평가를 촉발했다"라며 이같이 밝혔음.
- 라가르드 총재는 이번 침략 이후 "무역을 국제법이나 인권 등과 같은 보편적 가치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점점 어렵게됐다"며 "출렁이는 가치 체계와 변화하는 동맹은 경제적 관계의 새로운 지도를 만들고 있다"고 강조했음.
- 라가르드 총재는 이것이 앞으로 어떻게 펼쳐질지 단언하긴 이르지만, 세계 무역에서 3가지 뚜렷한 변화가 나타나는 것을 목격할 수 있다며, ▲ 의존에서 다변화로, ▲ 효율성에서 안전으로, ▲세계화에서 지역화로의 변화가 그것이라고 말했음.
- 그는 이는 무역 개방을 제한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며 우리의 지역적인 힘을 활용해 예측할 수 없는 시기에 무역을 더욱 안전하게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촉구했음.
□ 서울환시 거래전망
○ NDF 달러∙원 최종호가 : 1,243.60 (전일 서울환시 종가대비 4.50원↑)
○ 금일 달러/원 환율은 주말 전 美 증시 하락과 달러인덱스 상승세를 반영하여 1,240원대 중반으로 상승을 시도할 것으로 전망됨.
'외환(FX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4/27(수) 일일시황 (0) | 2022.04.27 |
---|---|
4/26(화) 일일시황 (0) | 2022.04.26 |
4/22(금) 일일시황 (0) | 2022.04.22 |
4/21(목) 일일시황 (0) | 2022.04.21 |
4/20(수) 일일시황 (0) | 2022.04.20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