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전 거래일(11월 16일) 서울환시
□ 달러/원 환율 거래 동향
거래지표 | 전일 比 | 장중동향 | |
시가 | 1,183.00 | +4.60 | - 달러/원 환율은 간밤 달러화 강세를 반영하여 전일 종가대비 4.6원 상승한 1,183원대에 개장 후 등락하였으나 美中 정상회담을 대기하는 가운데 역외 위안화가 강세를 보이자 하락세로 전환됨. - 수급상으로도 역외위안화 강세에 연동된 달러 매도세가 지속 유입되며 환율 하락을 주도하였으며, 달러/원 환율은 전거래일 종가대비 1.50원 상승한 1,179.90원에 장을 마감함. - 가중평균거래환율(MAR) : 1,179.60원 - 거래량 : 약 87.8억불 |
고가 | 1,183.20 | ||
저가 | 1,175.50 | ||
종가 | 1,179.90 | +1.50 |
□ 아시아 증시 지표
주가지수 | 전일 比 | |
韓 코스피 | 2,997.21 | ▼ 0.08% |
韓 코스닥 | 1,035.46 | ▲ 0.62% |
日 닛케이 | 29,808.12 | ▲ 0.11% |
中 상해종합 | 3,521.79 | ▼ 0.33% |
□ 전거래일 주요 뉴스
○ 美中 정상회담, 양국 긴장관계 돌려놓을까…투자자 주시 (배런스)
- 미중 정상이 16일 화상 정상회담을 개시한 가운데 양국 간 긴장 관계를 완화할 수 있을지 투자자들이 주시하고 있음. 투자전문지 배런스는 이번 정상회담은 안정적인 관리에 초점이 맞춰진 만큼 투자자들이 주시 목록에서 양국 관계를 제외해서는 안 된다고 이날 보도했음.
- 한 컨설팅회사의 전문가는 이번 회담에 대해 "양국의 단기 전환점이 될 것이며 긴장과 지정학적 불확실성의 일부를 줄일 것"이라고 평가했으며, 미국이 확고히 대만을 지지하고 있지만 중국이 권력을 공고히 할 20차 공산당 대회를 앞두고 갈등을 원하지 않을 것이며 건설적인 대화 창구를 허용할 것이라고 관측함.
※ 11/16 0시 기준, 국내 코로나19 일일 확진자수 : 2,125명 (국내: 2,105명)
2. 뉴욕환시
□ 거래동향
환시 | 美 국채금리 | 증시 | 스왑/Libor/유가 | ||||
EUR/USD | 1.13126 (▼ 0.42%) |
2Y | 0.532% (▲ 0.1bp) |
DOW | 36,142.22 (▲ 0.15%) |
CRS 3Y Mid |
1.100% (▼ 0.005%p) |
USD/JPY | 114.822 (▲ 0.57%) |
10Y | 1.636% (▲ 1.6bp) |
S&P | 4,700.90 (▲ 0.39%) |
Libor 3M | 0.16% (-%p) |
달러인덱스 | 95.954 (▲ 0.41%) |
30Y | 2.016% (▲ 0.6bp) |
NASDAQ | 15,973.86 (▲ 0.76%) |
WTI (12月물) |
80.76 (▼ 0.2%) |
장중동향 | |||||||
- 환시 : 글로벌 달러화는 美 소매판매 경제지표가 시장예상치를 웃돌면서 강세 마감 - 美 10Y 국채금리 : 경제지표 호조 영향으로 소폭 상승 마감. - 증시 : 美 소매판매 지표 호조와 기업실적 호조에 상승 마감. - 유가 : 美 전략비축유 공급 기대는 약해졌으나 국제원유 공급 증가 진단에 소폭 하락 마감. |
□ 주요 뉴스
○ 달러화, 소매판매 호조에 거침없는 강세…유로화 52주 신저가 경신 (연한입포맥스)
- 달러화 가치가 거침없는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음. 미국의 소매판매가 시장 예상치를 웃돌면서 달러 인덱스가 16개월만에 최고치를 경신했으며, 유로화는 52주 신저가 경신 행진을 이어가고 있음. 유로존의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한 영향 등으로 분석됨.
- 시장이 주목했던 미국의 소매판매는 예상치를 상회했는데, 10월 소매판매는 전월보다 1.7% 증가했고 WSJ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 1.5%도 웃돌았음.
- 또한, 미국과 유럽의 중앙은행이 차별화된 정책 행보를 보일 것이란 전망도 유로화 약세를 부추겼음. 라가르드 ECB 총재는 당분간 긴축 정책을 보일 생각이 없다며, 비둘기파적인 스탠스를 확실히 함.
□ 서울환시 거래전망
○ NDF 달러∙원 최종호가 : 1,185.00 (전일 서울환시 종가대비 4.10원↑)
○ 금일 달러/원 환율은 강한 美 경제지표를 반영하여 1,180원대 중반으로 상승을 시도할 것으로 전망됨.
'외환(FX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1/19(금) 일일시황 (0) | 2021.11.19 |
---|---|
11/18(목) 일일시황 (0) | 2021.11.18 |
11/15(월) 일일시황 (0) | 2021.11.15 |
11/12(금) 일일시황 (0) | 2021.11.12 |
11/11(목) 일일시황 (0) | 2021.11.11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