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전 거래일(11월 11일) 서울환시
□ 달러/원 환율 거래 동향
거래지표 | 전일 比 | 장중동향 | |
시가 | 1,186.00 | +5.10 | - 달러/원 환율은 간밤 예상치를 상회하는 美 CPI 급등으로 인한 강달러 영향으로 큰 폭으로 상승 개장함. 개장 후 1,180원대 중후반에서 등락하던 환율은 오후들어 대우조선해양의 5,000억원 규모 수주 소식에 하방 압력이 강해짐. - 환율 급등에 따른 수출업체들의 네고물량 또한 장중에 지속 출회되었으며, 하락 출발했던 코스피 지수가 오후에 낙폭을 줄인 영향까지 더해져 환율은 장중 상승폭을 모두 반납 후 전거래일 종가대비 0.10원 하락한 1,180.80원에 장을 마감함. - 가중평균거래환율(MAR) : 1,184.70원 - 거래량 : 약 70.7억불 |
고가 | 1,187.00 | ||
저가 | 1,180.60 | ||
종가 | 1,180.80 | △0.10 |
□ 아시아 증시 지표
주가지수 | 전일 比 | |
韓 코스피 | 2,924.92 | ▼ 0.18% |
韓 코스닥 | 992.65 | ▲ 0.50% |
日 닛케이 | 29,277.86 | ▲ 0.59% |
中 상해종합 | 3,532.79 | ▲ 1.15% |
□ 전거래일 주요 뉴스
○ 中정부, 헝다그룹 해체 작업 본격화 (WSJ)
- 중국 정부가 디폴트(채무불이행) 위기에 놓인 부동산 개발업체 헝다 그룹을 단계적으로 해체하기 위해 중장기적 계획을 실행하고 있다고 WSJ)이 10일(현지 시각) 보도함. 경제에 미칠 악영향을 최소화하면서 부동산 버블 붕괴의 뇌관이 될 우려가 있는 헝다의 몸집을 줄이는 것이 목적임.
- WSJ는 현지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 정부가 헝다그룹의 자산 일부를 중국 기업에 매각해 내부 붕괴를 통제하고, 부동산 시장의 동요를 막기 위한 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전했음. 수년 뒤에는 헝다그룹의 작은 일부만 살아남을 수 있다고 전망함. 이번 해체 작업은 중앙 정부의 지휘 아래 전국 200여개 지자체가 참여해 헝다그룹이 중국 전역에서 벌여 놓은 프로젝트를 현지 기업이나 공기관에 매각하고 충격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음.
※ 11/11 0시 기준, 국내 코로나19 일일 확진자수 : 2,520명 (국내: 2,494명)
2. 뉴욕환시
□ 거래동향
환시 | 美 국채금리 | 증시 | 스왑/Libor/유가 | ||||
EUR/USD | 1.14450 (▼ 0.29%) |
2Y | 0.499% (휴장) |
DOW | 35,921.23 (▼ 0.44%) |
CRS 3Y Mid |
1.090% (▲ 0.050%p) |
USD/JPY | 114.070 (▲ 0.15%) |
10Y | 1.556% (휴장) |
S&P | 4,649.27 (▲ 0.06%) |
Libor 3M | 0.16% (▲ 0.01%p) |
달러인덱스 | 95.161 (▲ 0.29%) |
30Y | 1.922% (휴장) |
NASDAQ | 15,704.28 (▲ 0.52%) |
WTI (12月물) |
81.34 (▲ 0.3%) |
장중동향 | |||||||
- 환시 : 글로벌 달러화는 美 CPI 폭등發 상승압력이 지속되며 16개월래 최고수준 강세 마감 - 美 10Y 국채금리 : 재향군인의 날(Veterans Day)로 휴장. - 증시 : 전일 하락 반발매수세 및 인플레 우려 등에 혼조세 마감 - 유가 : 수급 불균형 지속 전망에 상승 마감 |
□ 주요 뉴스
○ OPEC "에너지 가격 급등에 올해 일부국가 석유수요 둔화 예상" (다우존스)
- 11일(현지시간) 다우존스와 OPEC에 따르면 OPEC은 월간 시장보고서에서 에너지 가격 급등으로 일부 국가들의 에너지 수요가 둔화될 수 있다고 전망했음.
- OPEC은 치솟는 에너지 비용이 수요를 압박할 수 있으며, 중국과 인도의 석유 수요도 예상보다 약할 수 있다고 진단했으며, 올해 남은 기간 동안 선진국이 아닌 빈곤국의 수요가 높은 에너지 비용으로 인해 둔화될 수 있다고 내다봤음. 또한, 높은 에너지 가격에도 OPEC은 올해와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각각 5.6%, 4.2%로 유지했음.
□ 서울환시 거래전망
○ NDF 달러∙원 최종호가 : 1,181.50 (전일 서울환시 종가대비 0.45원↓)
○ 금일 달러/원 환율은 달러인덱스 기준 95를 상회하는 강달러 영향으로 1,180원대 중반으로 상승을 시도할 것으로 전망됨.
'외환(FX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1/17(수) 일일시황 (0) | 2021.11.17 |
---|---|
11/15(월) 일일시황 (0) | 2021.11.15 |
11/11(목) 일일시황 (0) | 2021.11.11 |
11/10(수) 일일시황 (0) | 2021.11.10 |
11/9(화) 일일시황 (0) | 2021.11.09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