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전 거래일(9월 7일) 서울환시
□ 달러/원 환율 거래 동향
시가 | 고가 | 저가 | 종가 |
1,377.00 | 1,388.40 | 1,377.00 | 1,384.20 (전일比 12.50원↑) |
장중동향 | |||
- 달러/원 환율은 지속되고 있는 강달러 장세를 반영하여 상승세를 이어감. 장중에 달러/엔 환율이 144엔대로 치솟고, 유로화도 달러 대비 약세 폭을 키우자 달러/원 환율도 이에 연동되어 거침없는 상승세를 보임. 외환당국은 ‘원화 약세가 우리 경제의 펀더멘털에 비해 빠른 측면이 있다’며 구두개입을 단행하였지만 상승세를 막기엔 역부족이었으며, 달러/원 환율은 전거래일 종가대비 12.50원 상승한 1,384.20원에 장을 마감함. - 가중평균거래환율(MAR) : 1,385.30원 - 거래량 : 약 87.0억불 |
※ 9/7 기준, 韓 코로나19 일일 확진자수 : 85,540명(국내: 85,197명)
□ 아시아 증시 지표
주가지수 | 전일 比 | |
韓 코스피 | 2,376.46 | ▼ 1.39% |
韓 코스닥 | 768.19 | ▼ 1.45% |
日 닛케이 | 27,430.30 | ▼ 0.71% |
中 상해종합 | 3,246.29 | ▲ 0.09% |
2. 뉴욕환시
□ 거래동향
환시 | 美 국채금리 | 증시 | 스왑/Libor/유가 | ||||
EUR/USD | 1.00087 (▲ 1.06%) |
2Y | 3.459% (▼ 5.4bp) |
DOW | 31,581.28 (▲ 1.40%) |
CRS 3Y Mid |
3.245% (▼ 0.025%p) |
USD/JPY | 143.720 (▲ 0.63%) |
10Y | 3.268% (▼ 7.3bp) |
S&P | 3,979.87 (▲ 1.83%) |
Libor 3M | 3.19% (▲ 0.02%p) |
달러인덱스 | 109.553 (▼ 0.63%) |
30Y | 3.047% (▼ 7.9bp) |
NASDAQ | 11,791.90 (▲ 2.14%) |
WTI (10月물) |
81.94 (▼ 5.69%) |
장중동향 | |||||||
- 환시 : 달러화는 ECB의 기준금리 인상을 경계하며 소폭 하락 마감 - 美 10Y 국채금리 : 美 연준의 경기판단에서 성장전망이 전반적으로 약해지자 하락 마감 - 증시 : 美 국채금리가 하락세를 보이자 안도 랠리로 상승 마감 - 유가 : 중국의 봉쇄 지속과 이로 인한 수요 우려로 올해 1월 이후 최저 수준으로 하락 마감 |
□ 주요 뉴스
○ 美시장, 연준 9월에 75bp 금리 인상에 대비 (연합인포맥스)
- 美 금융시장 트레이더들은 연준이 이번 9월 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75bp 인상할 것에 대비하고 있음.
- 7일(현지시간) CME그룹 페드워치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10분 기준 9월 회의에서 연준이 금리를 75bp 인상할 가능성은 82%로 전날의 73%에서 크게 올랐음. 50bp 인상 가능성은 18%로 전날의 27%에서 낮아졌음. 연준 당국자들의 긴축 관련 발언이 계속되고, 고용 지표도 긍정적인 수준을 유지하면서 연준의 '자이언트 스텝' 가능성이 점차 커지는 모습임.
- 씨티그룹의 전략가는 보고서에서 "6월 75bp 금리 인상은 이전 두 번의 25bp와 50bp 인상에서 깜짝 가속으로 여겨졌으나, 3개월도 지나지 않아 유럽중앙은행과 캐나다중앙은행이 75bp 금리 인상을 준비하면서 이제 75bp 인상은 세계적인 표준이 되었다"라고 말했음.
- 그는 "이러한 빠른 금리 인상은 인플레이션이 목표치를 크게 웃도는 환경이라 유사한 논리에서 비롯된다"라며 "(정책 금리나 금융 환경이) 제약적인 영역으로 이동하지 않는다면 정책금리와 금융 환경을 중립적인 영역으로 돌리는 데 대한 이견이 거의 없다"라고 설명했음.
- 투자자들은 다음 주 나오는 8월 美 소비자물가지수(CPI)를 주목하고 있음. 시장참가자들은 연준이 이달 금리를 75bp 인상할 것이라며 8월 물가는 9월 회의 이후의 금리 인상 폭에 더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했음.
□ 서울환시 거래전망
○ NDF 달러∙원 최종호가 : 1,373.65 (전일 서울환시 종가대비 9.75원↓)
○ 금일 달러/원 환율은 오늘 예정된 ECB의 유로화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경계하며 1,370원대로 하락하여 숨고르기 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됨.
'외환(FX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9/15(목) 일일시황 (0) | 2022.09.15 |
---|---|
9/14(수) 일일시황 (0) | 2022.09.14 |
9/7(수) 일일시황 (0) | 2022.09.07 |
9/6(화) 일일시황 (0) | 2022.09.06 |
9/5(월) 일일시황 (0) | 2022.09.05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