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전 거래일(8월 11일) 서울환시
□ 달러/원 환율 거래 동향
시가 | 고가 | 저가 | 종가 |
1,297.00 | 1,305.00 | 1,297.00 | 1,303.00 (전일比 7.40원↓) |
장중동향 | |||
- 달러/원 환율은 간밤 달러화 가치가 급락한 영향으로 1,300원을 하회하여 개장했음. 하지만, 개장가를 저점으로 낙폭을 차차 축소하였으며 1,300원 초반에서 반발 매수 수급이 지속 유입되어 전일 종가 대비 7.40원 하락한 1,303.00원에 장을 마감함. - 가중평균거래환율(MAR) : 1,302.50원 - 거래량 : 약 69.3억불 |
※ 8/11 기준, 韓 코로나19 일일 확진자수 : 137,241명(국내: 136,719명)
□ 아시아 증시 지표
주가지수 | 전일 比 | |
韓 코스피 | 2,523.78 | ▲ 1.73% |
韓 코스닥 | 832.15 | ▲ 1.45% |
日 닛케이 | 27,819.33 | 휴장(산의 날) |
中 상해종합 | 3,281.67 | ▲ 1.60% |
2. 뉴욕환시
□ 거래동향
환시 | 美 국채금리 | 증시 | 스왑/Libor/유가 | ||||
EUR/USD | 1.03180 (▲ 0.14%) |
2Y | 3.202% (▲ 1.7bp) |
DOW | 33,336.67 (▲ 0.08%) |
CRS 3Y Mid |
2.770% (▲ 0.010%p) |
USD/JPY | 133.110 (▲ 0.16%) |
10Y | 2.893% (▲ 10.7bp) |
S&P | 4,207.27 (▼ 0.07%) |
Libor 3M | 2.91% (▼ 0.01%p) |
달러인덱스 | 105.172 (▼ 0.03%) |
30Y | 3.173% (▲ 13.0bp) |
NASDAQ | 12,779.91 (▼ 0.58%) |
WTI (9月물) |
94.34 (▲ 2.6%) |
장중동향 | |||||||
- 환시 : 달러화는 美 인플레 정점론에 상승 탄력이 둔화되며 보합 마감 - 美 10Y 국채금리 : 연준의 매파적 스탠스가 쉽게 꺾이지 않을 것이란 우려에 상승 마감 - 증시 : 전일 급등에 따른 차익실현에 혼조 마감 - 유가 : 국제에너지기구(IEA)의 원유 수요 전망치 상향 소식에 상승 마감 |
□ 주요 뉴스
○ 美 7월 PPI 전년比 9.8%↑…2021년 10월 이후 최저 (연합인포맥스)
- 미국의 7월 생산자물가지수(PPI) 상승률이 지난해 10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음. 美 노동부는 11일(현지시간) 7월 PPI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대비해 9.8% 올랐다고 밝혔음. 이는 전월치인 11.3% 증가율에서 1.5%포인트 하락한 것임.
- 7월 PPI는 지난해 11월(9.9%) 이후 8개월만에 10% 아래로 떨어진 것이며, 지난해 10월 이후 가장 낮음. PPI는 지난 3월에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.7% 상승하며 역대 최고 기록을 세운 이후 6월까지 4개월 연속 11%대의 상승률을 기록한 바 있음. 이날 수치는 WSJ이 집계한 예상치인 0.2% 상승도 밑돌았음.
- 생산자물가는 소비자물가에 전가될 위험이 있어 투자자들이 인플레이션 선행 지표로 주목하는 것 중 하나임.
□ 서울환시 거래전망
○ NDF 달러∙원 최종호가 : 1,306.00 (전일 서울환시 종가대비 3.50원↑)
○ 금일 달러/원 환율은 중국 경기둔화 우려에 기인한 안전자산 선호로 1,300원 중반대에서 상승 우위의 장이 전개될것으로 전망됨.
'외환(FX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8/17(수) 일일시황 (0) | 2022.08.17 |
---|---|
8/16(화) 일일시황 (0) | 2022.08.16 |
8/11(목) 일일시황 (0) | 2022.08.11 |
8/10(수) 일일시황 (0) | 2022.08.10 |
8/9(화) 일일시황 (0) | 2022.08.09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