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전 거래일(8월 10일) 서울환시
□ 달러/원 환율 거래 동향
시가 | 고가 | 저가 | 종가 |
1,308.00 | 1,311.00 | 1,307.00 | 1,310.40 (전일比 5.80원↑) |
장중동향 | |||
- 달러/원 환율은 개장 후 美 7月 CPI 대기모드로 제한된 등락 움직임을 보였으나 장중에 역외에서의 달러 매수와 국내증시 매도 외국인의 환전 수요가 지속 유입되며 레벨을 끌어올린 끝에 전일 종가 대비 5.80원 상승한 1,310.40원에 장을 마감함. - 가중평균거래환율(MAR) : 1,309.10원 - 거래량 : 약 64.8억불 |
※ 8/10 기준, 韓 코로나19 일일 확진자수 : 151,792명(국내: 151,177명)
□ 아시아 증시 지표
주가지수 | 전일 比 | |
韓 코스피 | 2,480.88 | ▼ 0.90% |
韓 코스닥 | 820.27 | ▼ 1.60% |
日 닛케이 | 27,819.33 | ▼ 0.65% |
中 상해종합 | 3,230.02 | ▼ 0.54% |
2. 뉴욕환시
□ 거래동향
환시 | 美 국채금리 | 증시 | 스왑/Libor/유가 | ||||
EUR/USD | 1.03040 (▲ 0.93%) |
2Y | 3.185% (▼ 8.2bp) |
DOW | 33,309.51 (▲ 1.63%) |
CRS 3Y Mid |
2.750% (▲ 0.005%p) |
USD/JPY | 132.900 (▼ 1.66%) |
10Y | 2.786% (▼ 1.2bp) |
S&P | 4,210.24 (▲ 2.13%) |
Libor 3M | 2.92% (-%p) |
달러인덱스 | 105.205 (▼ 1.06%) |
30Y | 3.043% (▲ 3.8bp) |
NASDAQ | 12,854.81 (▲ 2.89%) |
WTI (9月물) |
91.33 (▲ 1.6%) |
장중동향 | |||||||
- 환시 : 달러화는 美 CPI 상승세가 주춤하며 인플레이션 피크아웃 평가에 급락 마감 - 美 10Y 국채금리 : CPI가 시장 예상을 하회하자 하락 마감 - 증시 : CPI 상승률 둔화에 안도랠리가 나오며 상승 마감 - 유가 : 美 휘발유 재고가 크게 줄었다는 소식에 상승 마감 |
□ 주요 뉴스
○ 美 7월 CPI 전년比 8.5%↑…41년 만의 최고치서 둔화 (연합인포맥스)
- 미국의 7월 물가 상승률이 41년 만의 최고치에서 둔화했을 뿐만 아니라 시장의 예상치도 밑돌았음. 美 노동부는 10일(현지시간) 7월 CPI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8.5% 올랐다고 밝혔음. 지난 6월 1981년 11월 이후 최고치였던 9.1% 상승에서 크게 하락한 데다 WSJ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인 8.7% 증가도 밑돌았음.
- 변동성이 큰 음식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CPI도 시장 예상보다 낮았음. 7월 근원 CPI는 전년 대비 5.9% 올라, 전달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는데, 이는 WSJ 예상치 6.1% 상승보다 낮은 것임.
- 휘발유 등 에너지 가격이 크게 하락한 것이 물가 상승세 둔화에 일조했음. 7월 에너지 가격은 전달보다 4.6% 하락해 전달 7.5% 상승한 데서 하락 반전했음.
- 물가 상승세가 전달보다 둔화했으나 여전히 8% 상승을 웃도는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, 물가 지표 발표 이후 금리 선물시장에서 연준이 9월 회의에서 금리를 50bp 인상할 가능성은 60%를 넘어섰음. 이는 전날의 30% 수준에서 높아진 것이다. 전날에는 75bp 금리 인상 가능성이 60%를 넘었으나 75bp 금리 인상 가능성은 30%대로 하락했음.
- 물가 상승세가 꾸준히 둔화한다는 신호가 나올 경우 연준의 긴축 속도가 완화될 수 있다는 전망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보임.
- 한 이코노미스트는 WSJ에 "헤드라인 물가상승률이 에너지 가격 약세로 둔화했으나, 근원 인플레이션은 꾸준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"라며 "연준은 높은 인플레이션이 소비자물가 기대에 고착화될 것을 우려할 수 있어 긴축 기조를 유지할 가능성이 크다"라고 말했음.
□ 서울환시 거래전망
○ NDF 달러∙원 최종호가 : 1,297.00 (전일 서울환시 종가대비 12.80원↓)
○ 금일 달러/원 환율은 시장 예상치를 하회한 美 물가지표 영향으로 1,300원을 하회하며 개장 후 하단 레벨을 탐색할 것으로 전망됨.
'외환(FX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8/16(화) 일일시황 (0) | 2022.08.16 |
---|---|
8/12(금) 일일시황 (0) | 2022.08.12 |
8/10(수) 일일시황 (0) | 2022.08.10 |
8/9(화) 일일시황 (0) | 2022.08.09 |
8/8(월) 일일시황 (0) | 2022.08.08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