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전 거래일(6월 24일) 서울환시
□ 달러/원 환율 거래 동향
거래지표 | 전일 比 | 장중동향 | |
시가 | 1,300.00 | △1.80 | - 서울환시는 간밤 NDF시장에서의 달러화 약세를 반영하여 전거래일 종가 대비 1.80원 하락한 1,300.00원에 개장함. - 개장 후 1,302원대 부근으로 상승 시도를 하였으나 이내 상단이 막히며 1,300원대 초반에서 횡보하던 환율은 아시아 주요국들의 증시가 반등하고 역외 위안화가 강세를 보이자 하락세를 보였으며, 전거래일 종가 대비 3.60원 하락한 1,298.20원에 장을 마감함. - 가중평균거래환율(MAR) : 1,299.40원 - 거래량 : 약 79.2억불 |
고가 | 1,301.90 | ||
저가 | 1,295.50 | ||
종가 | 1,298.20 | △3.60 |
□ 아시아 증시 지표
주가지수 | 전일 比 | |
韓 코스피 | 2,366.60 | ▲ 2.26% |
韓 코스닥 | 750.30 | ▲ 5.03% |
日 닛케이 | 26,491.97 | ▲ 1.23% |
中 상해종합 | 3,349.75 | ▲ 0.89% |
□ 전거래일 주요 뉴스
○ 추경호 "환율 1,300원 위기상황 징표아냐…급변동시 대응" (연합인포맥스)
-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달러/원 환율이 1,300원 수준까지 오른 데 대해 26일 "우리 경제의 위기 상황 징표라고 보기 어렵다"고 평가했음. 추 부총리는 이날 KBS 일요진단 라이브에 출연해 '(그간 달러/원 환율이) 1,300원이 넘으면서 위기가 닥쳤는데, 또 심각한 위기가 오는 게 아니냐는 의견이 있다'는 사회자의 질문에 이렇게 답했음.
- 추 부총리는 "과거 외환위기 때는 우리 경제에 근본적인 문제가 있어서 환율이 급등했고 1,300원, 1,500원 갔던 시절"이라고 설명했음. 추 부총리는 또한 "우리 원화만 1,300원이 넘고 약세를 보이면 위기 상황이죠. 그런데 원화 움직임은 대체로 달러 강세에 따라 주변국하고 큰 흐름에서 차이가 있는 게 아니다"고 강조했음.
- 그러면서 "어쨌거나 세계 금융·외환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져 있다"면서 "외환시장이 심리적 불안으로 갑자기 쏠려 굉장히 요동치면 경제 곳곳에 파장을 미친다"고 우려했음.
※ 6/26 0시 기준, 국내 코로나19 일일 확진자수 : 6,246명 (국내: 6,111명)
2. 뉴욕환시
□ 거래동향
환시 | 美 국채금리 | 증시 | 스왑/Libor/유가 | ||||
EUR/USD | 1.05587 (▲ 0.27%) |
2Y | 3.071% (▲ 4.8bp) |
DOW | 31,500.68 (▲ 2.68%) |
CRS 3Y Mid |
2.750% (▼ 0.085%p) |
USD/JPY | 135.219 (▲ 0.20%) |
10Y | 3.129% (▲ 6.0bp) |
S&P | 3,911.74 (▲ 3.06%) |
Libor 3M | 2.23% (▲ 0.03%p) |
달러인덱스 | 104.086 (▼ 0.26%) |
30Y | 3.260% (▲ 8.0bp) |
NASDAQ | 11,607.62 (▲ 3.34%) |
WTI (8月물) |
107.62 (▲ 3.21%) |
장중동향 | |||||||
- 환시 : 달러화는 주말을 앞두고 위험자산이 반등하자 하락 마감 - 美 10Y 국채금리 :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가 美 경기침체 가능성을 일축하자 상승 마감 - 증시 : 美 소비자 기대인플레이션 하락에 따른 안도랠리로 큰 폭 상승 마감 - 유가 : 경기침체 우려 완화에 상승 마감 |
□ 주요 뉴스
○ "한국 MSCI 선진지수 편입 실패로 수백억달러 유입 기회 박탈" (WSJ)
- WSJ은 한국 증시의 모건스탠리캐피탈인터내셔널지수(MSCI) 선진지수(DM) 편입 실패에 대해 "서울의 정치권과 경제계를 실망시킨 데다, 세계 투자자들로부터 수백억 달러를 유입할 기회도 빼앗겼다"고 23일(현지시간) 평가했음.
- 이날 MSCI가 발표한 시장 재분류 결과에 따르면 한국은 올해 선진지수 후보로 편입되지 않았음. 이에 따라 한국 증시의 선진국 지수 편입 도전은 다음 기회인 내년 6월로 넘어갔음.
- WSJ는 한국 경제에 대해 대체로 우호적으로 평가했음. WSJ는 세계은행(WB) 통계 자료를 인용, "한국은 2020년 기준 세계 10위의 경제 대국"이라면서 "한국은 불과 몇십 년 만에 세계에서 가장 발전된 경제국 중 하나로 부상했고, 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 같은 기업들이 있는 약 2조 달러 규모의 주식 시장을 보유하고 있다"고 말했음.
- 그럼에도 한국증시의 선입지수 편입이 좌절된 것은 "MSCI 측에서 한국 시장 접근성의 몇 가지 단점을 강조했기 때문"이라고 설명했음.
- MSCI는 지난 10일 국가별 시장 접근성 평가에서 한국 시장에 대해 ▲외국인 투자자를 위한 정보 접근성 부족(영문 IR 등) ▲역내외 외환시장 접근 제한 ▲코스피200·코스닥150 기업 대상으로만 허용되는 제한적 공매도 등을 단점으로 지적했음.
□ 서울환시 거래전망
○ NDF 달러∙원 최종호가 : 1,288.80 (전일 서울환시 종가대비 8.90원↓)
○ 금일 달러/원 환율은 주말 전 큰 폭의 美 증시 반등 영향으로 1,290원을 하향 돌파하여 하단을 테스트 할 것으로 전망됨.
'외환(FX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6/29(수) 일일시황 (0) | 2022.06.29 |
---|---|
6/28(화) 일일시황 (0) | 2022.06.28 |
6/24(금) 일일시황 (0) | 2022.06.24 |
6/23(목) 일일시황 (0) | 2022.06.23 |
6/22(수) 일일시황 (0) | 2022.06.22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