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전 거래일(5월 13일) 서울환시
□ 달러/원 환율 거래 동향
거래지표 | 전일 比 | 장중동향 | |
시가 | 1,290.80 | +2.20 | - 서울환시는 간밤 NDF시장에서의 달러화 강세를 반영하여 전거래일 종가 대비 2.20원 상승한 1,290.80원에 개장함. - 간밤 미국의 생산자물가가 예상치를 상회했고, 뉴욕 증시 등 글로벌 위험자산의 약세가 강달러로 이어지며 달러/원 환율도 상승세로 시작함. 하지만, 전일 급등에 대한 피로감과 당국의 개입, 아시아 증시 반등이 더해지며 이내 하락세로 전환되었고, 환율은 전거래일 종가 대비 4.40원 하락한 1,284.20원에 장을 마감함. - 가중평균거래환율(MAR) : 1,286.00원 - 거래량 : 약 95.5억불 |
고가 | 1,291.00 | ||
저가 | 1,281.20 | ||
종가 | 1,284.20 | △4.40 |
□ 아시아 증시 지표
주가지수 | 전일 比 | |
韓 코스피 | 2,604.24 | ▲ 2.12% |
韓 코스닥 | 853.08 | ▲ 2.33% |
日 닛케이 | 26,427.65 | ▲ 2.64% |
中 상해종합 | 3,084.29 | ▲ 0.96% |
□ 전거래일 주요 뉴스
○ "中 인민은행, 금리 인하 시사" (니혼게이자이)
-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금리 인하를 시사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13일 보도했음.
- 첸위루 인민은행 부행장은 12일 기자회견에서 "시장 대출금리를 더욱 낮춰 기업 자금조달 비용을 줄이고 자금 수요를 자극할 것"이라고 말했음. 시장에서는 정책금리 인하 의도를 전한 것으로 해석돼 12일 역외 달러/위안 환율은 한때 6.83위안대까지 급등(위안화 가치 급락)했음.
- 중국에서는 대출우대금리(LPR)가 사실상 기준금리 역할을 하고 있으며, 1년물은 우량기업 대출금리의 지표가 되고 5년물은 주택담보대출과 같은 중장기 자금대출의 기준이 됨.
※ 5/15 0시 기준, 국내 코로나19 일일 확진자수 : 25,434명 (국내: 25,408명)
2. 뉴욕환시
□ 거래동향
환시 | 美 국채금리 | 증시 | 스왑/Libor/유가 | ||||
EUR/USD | 1.04007 (▲ 0.27%) |
2Y | 2.590% (▲ 7.4bp) |
DOW | 32,196.66 (▲ 1.47%) |
CRS 3Y Mid |
2.400% (▼ 0.055%p) |
USD/JPY | 129.319 (▲ 0.70%) |
10Y | 2.930% (▲ 11.2bp) |
S&P | 4,023.89 (▲ 2.39%) |
Libor 3M | 1.44% (▲ 0.03%p) |
달러인덱스 | 104.570 (▼ 0.23%) |
30Y | 3.093% (▲ 11.1bp) |
NASDAQ | 11,805.00 (▲ 3.82%) |
WTI (6月물) |
110.49 (▲ 4.1%) |
장중동향 | |||||||
- 환시 : 달러화는 암호화폐 시장의 혼란으로 불거졌던 안전자산 선호가 다소 누그러지며 하락 마감 - 美 10Y 국채금리 : 금융시장에 위험선호 심리가 되살아나며 상승 마감 - 증시 : 최근 연일 급락에 따른 반발 매수세 유입으로 상승 마감 - 유가 : 유럽연합의 러시아산 원유 금수방안 검토로 공급우려가 커지며 상승 마감 |
□ 주요 뉴스
○ 나티시스 "ECB, 통화 긴축 곧 시작할 듯…7월 금리 인상" (다우존스)
- 유럽중앙은행(ECB)이 조만간 통화 긴축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고 나티시스의 유럽 매크로 리서치 대표가 전망했음.
- 13일(현지시간) 다우존스에 따르면 그는 웨비나를 통해 "6월에 ECB가 자산매입 종료를 발표하고, 첫 금리 인상은 7월에 25bp 인상으로 개시할 것으로 예상한다"라고 말했음. 또한 이후 추가적인 금리 인상이 뒤따를 것으로 예상했음.
- 그는 지난 3~4개월 동안 차입환경이 크게 긴축됐다며, 그 결과 "시장이 이미 어느 정도 제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ECB는 추세에서 크게 뒤처지지 않았다"라고 평가했음.
□ 서울환시 거래전망
○ NDF 달러∙원 최종호가 : 1,279.00 (전일 서울환시 종가대비 5.35원↓)
○ 금일 달러/원 환율은 오늘 외환당국의 수장인 추경호 부총리, 이창용 한은 총재의 회동을 주시하며 1,280원대 아래로 하락을 시도할 것으로 전망됨.
'외환(FX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5/18(수) 일일시황 (0) | 2022.05.18 |
---|---|
5/17(화) 일일시황 (0) | 2022.05.17 |
5/13(금) 일일시황 (0) | 2022.05.13 |
5/12(목) 일일시황 (0) | 2022.05.12 |
5/11(수) 일일시황 (0) | 2022.05.11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