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전 거래일(10월 1일) 서울환시
□ 달러/원 환율 거래 동향
거래지표 | 전일 比 | 장중동향 | |
시가 | 1,185.00 | +1.00 | - 달러/원 환율은 간밤 상승한 NDF 시장의 영향으로 전일 대비 소폭 상승하여 개장함. - 개장 직후 다소 혼조세를 보이던 달러/원 환율은 이내 상승세로 방향을 잡고 연고점 부근인 1,188원 근처로 레벨을 높였으나 외환당국의 개입 추정 물량에 상단이 막히며 주춤하는 모습을 보임. - 장중 내내 코스피/코스닥이 반등 없이 급락을 거듭하자 달러/원 환율도 다시 상승을 시도하였으며, 전거래일 종가 대비 4.70원 상승한 1,188.70원에 장을 마감함. - 가중평균거래환율(MAR) : 1,187.20원 - 거래량 : 약 59.6억불 |
고가 | 1,188.70 | ||
저가 | 1,183.50 | ||
종가 | 1,188.70 | +4.70 |
□ 아시아 증시 지표
주가지수 | 전일 比 | |
韓 코스피 | 3,019.18 | ▼ 1.62% |
韓 코스닥 | 983.20 | ▼ 2.00% |
日 닛케이 | 28,771.07 | ▼ 2.31% |
中 상해종합 | 3,568.17 | 국경절 휴장(~10/7) |
□ 전일 주요 뉴스
○ 한은 "국제 원자재가격 상승, 中수출 악영향보다 글로벌 인플레 부담" (연합인포맥스)
- 한국은행은 3일 '해외경제포커스'에서 중국경제와 원자재 가격 상승 간의 영향을 두고 "원자재가격 상승은 수출단가 상승을 통해 수출에 부정적으로 작용하겠으나, 최근의 경우 글로벌 수요 회복이 이러한 영향을 상당 부분 상쇄할 것"이라고 평가했음.
- 한은은 더 주목할 만한 부분은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이 중국 수출 물가 상승을 통해 글로벌 인플레이션 압력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이라고 강조했음.
※ 10/4 0시 기준, 국내 코로나19 일일 확진자수 : 1,673명 (국내: 1,653명)
2. 뉴욕환시
□ 거래동향
환시 | 美 국채금리 | 증시 | 스왑/리보/유가 | ||||
EUR/USD | 1.16213 (▲ 0.20%) |
2Y | 0.270% (▼ 0.8bp) |
DOW | 34,002.92 (▼ 0.94%) |
CRS 3Y Mid |
0.790% (▲ 0.020%p) |
USD/JPY | 110.923 (▼ 0.09%) |
10Y | 1.482% (▲ 1.2bp) |
S&P | 4,300.46 (▼ 1.30%) |
Libor 3M | 0.13% (-%p) |
달러인덱스 | 93.791 (▼ 0.25%) |
30Y | 2.048% (▲ 0.6bp) |
NASDAQ | 14,255.49 (▼ 2.14%) |
WTI (11月물) |
77.62 (▲ 2.30%) |
장중동향 | |||||||
- 환시 : 글로벌 달러화는 단기 급등에 따른 숨고르기 추정 장세로 인해 하락 마감 - 美 10Y 국채금리 : 불황과 인플레이션이 함께 나타나는 스태그플레이션 우려가 고조되며 상승 마감 - 증시 : 美 연방정부 부채 한도 관련 정치적 불확실성 고조 및 인플레이션 우려에 하락 마감 - 유가 : OPEC+국가들의 기존 증산속도 유지 소식에 따른 공급 병목 우려로 상승 마감 |
□ 주요 뉴스
○ BofA "미국, 스태그플레이션 시대 도래…시장이 깨달은 첫주" (마켓워치)
- 현지시간 1일, BofA의 글로벌 리서치 분석가들은 "이제 더 높은 가격에 대한 두려움이 전면에 다가오고 정부 보고서도 8월 현재 美 인플레이션이 30년래 최고 수준임을 보여준다”고 하며 스태그플레이션이 도래했다고 선언했음.
- 특히, 에너지 가격 상승은 시장에 대한 경종이었고, 이제 추가로 발전될 가능성이 있는 시나리오는 인플레이션이 높아지고 생산량이 감소하는 것이라고 지적했음.
- 은행은 내년에 더 명확한 금융 시장 움직임이 나타날 것으로 전망했음. 스태그플레이션이 전세계적으로 전개되고 있지만 미국에서 더 심해져서 정책 입안자들이 예상보다 더 공격적으로 통화 정책을 긴축할 수도 있을 것으로 우려하고 있음.
□ 서울환시 거래전망
○ NDF 달러∙원 최종호가 : 1,185.30 (전일 서울환시 종가대비 4.15원↓)
○ 금일 달러/원 환율은 글로벌 강달러가 숨고르기에 들어간 영향으로 1,180원대 중반에서 개장 후 안전자산 선호 심리에 따른 상승 시도가 전망됨.
'외환(FX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0/7(목) 일일시황 (0) | 2021.10.07 |
---|---|
10/6(수) 일일시황 (0) | 2021.10.06 |
10/1(금) 일일시황 (0) | 2021.10.01 |
9/30(목) 일일시황 (0) | 2021.09.30 |
9/29(수) 일일시황 (0) | 2021.09.29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