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전 거래일(6월 3일) 서울환시
□ 달러/원 환율 거래 동향
거래지표 | 전일 比 | 장중동향 | |
시가 | 1,242.50 | △9.60 | - 서울환시는 간밤 NDF시장에서의 달러화 약세를 반영하여 전거래일 종가 대비 9.60원 하락한 1,242.50원에 개장함. - 간밤 달러화 약세가 재개되며 달러/원 환율은 장 초반 두자릿수로 급락해 1,230원대로 하락 시도를 했으나 코스피가 상승 폭을 축소하고 장중 저가매수 수급이 유입되며 전거래일 종가대비 9.40원 하락한 1,242.70원에 장을 마감함. - 가중평균거래환율(MAR) : 1,241.10원 - 거래량 : 약 96.1억불 |
고가 | 1,244.00 | ||
저가 | 1,238.60 | ||
종가 | 1,242.70 | △9.40 |
□ 아시아 증시 지표
주가지수 | 전일 比 | |
韓 코스피 | 2,670.65 | ▲ 0.44% |
韓 코스닥 | 891.51 | ▲ 0.04% |
日 닛케이 | 27,915.89 | ▲ 0.56% |
中 상해종합 | 3,236.37 | ▲ 1.28% |
□ 전거래일 주요 뉴스
○ 현대硏 "인플레 고점 아냐…수개월간 물가상승률 상향 전망" (연합인포맥스)
- 현대경제연구원은 국내 인플레이션 수준이 아직 고점에 도달하지 않았다고 판단했음. 특히 지난해 2분기 이례적으로 물가 지수가 낮았던 점까지 고려하면 향후 수개월 동안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더 높아질 수 있다고 내다봤음.
- 연구원은 6일 '저성장-고물가 함정에 빠진 한국 경제'를 주제로 발표한 보고서에서 올 2분기 경제 동향과 경기에 대해 이같이 진단했으며, 수입물가를 통한 공급 측 물가 상승 압력이 인플레이션을 심화시키고 있고, 상승률 고점은 아직 도래하지 않았다고 설명했음.
- 앞서 발표된 5월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5.4% 상승해 2008년 8월(5.6%) 이후 13년 9개월 만의 최고 상승률을 기록한 바 있음.
※ 6/6 0시 기준, 국내 코로나19 일일 확진자수 : 5,022명 (국내: 5,005명)
2. 뉴욕환시
□ 거래동향
환시 | 美 국채금리 | 증시 | 스왑/Libor/유가 | ||||
EUR/USD | 1.06955 (▼ 0.23%) |
2Y | 2.720% (▲ 2.9bp) |
DOW | 32,915.78 (▲ 0.05%) |
CRS 3Y Mid |
2.600% (▲ 0.365%p) |
USD/JPY | 131.848 (▲ 0.75%) |
10Y | 3.034% (▲ 7.6bp) |
S&P | 4,121.43 (▲ 0.31%) |
Libor 3M | 1.67% (▲ 0.04%p) |
달러인덱스 | 102.391 (▲ 0.23%) |
30Y | 3.195% (▲ 8.3bp) |
NASDAQ | 12,061.37 (▲ 0.40%) |
WTI (7月물) |
118.50 (▼ 0.31%) |
장중동향 | |||||||
- 환시 : 달러화는 美 국채금리가 재급등함에 따라 상승 마감 - 美 10Y 국채금리 : 전주 美 5월 비농업고용지표에서 견조한 美 경기상황을 확인하며 급등 마감 - 증시 : 비농업고용지표에서 나타난 강한 美 경제상황을 토대로 상승 마감 - 유가 : 차익실현 매물 유입으로 하락 마감 |
□ 주요 뉴스
○ JP모건 "경기 침체 일어나지 않을 것" (다우존스)
- JP모건증권은 미국의 경기침체가 임박하지 않았다고 진단했음. 6일(현지시간) 다우존스에 따르면 JP모건증권의 애널리스트들은 보고서에서 탄탄한 미국의 소비 상황과 팬데믹 영향이 점진적으로 줄어들고 있는 점, 중국의 경제 재개 등을 고려할 때 침체는 "일어나지 않을 것"이라고 말했음.
- 이들은 우크라이나의 전쟁은 여전히 상당한 위험이지만, 올해 하반기에는 해결될 가능성이 있으며, 시장은 최근 몇달간 보인 손실을 회복해 지수는 올해 대략 지난해와 같은 수준에서 마감할 것으로 예상했음.
- 이들은 그들의 강세 전망이 대다수 전략가가 현재 보고 있는 부정적 컨센서스와는 일치하지 않는다는 점을 인정했음.
□ 서울환시 거래전망
○ NDF 달러∙원 최종호가 : 1,255.00 (전일 서울환시 종가대비 12.50원↑)
○ 금일 달러/원 환율은 강한 美 고용지표 영향으로 인한 강달러 재개로 1,250원대 중반으로 갭상승 후 등락할 것으로 전망됨.
'외환(FX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6/9(목) 일일시황 (0) | 2022.06.09 |
---|---|
6/8(수) 일일시황 (0) | 2022.06.08 |
6/3(금) 일일시황 (0) | 2022.06.03 |
6/2(목) 일일시황 (0) | 2022.06.02 |
5/31(화) 일일시황 (0) | 2022.05.31 |
댓글